전체 글 48

[원티드 랩(Wanted)] Career gathering(25.07.08)

해당 행사는 직업소개 기업인 원티드 랩에서 개최하게 되었다.행사는 7/8,7/9 이틀을 진행했지만, 7/8에 당첨이 되어 참여를 하게 되었다. 행사 진행은 이러했습니다.2개의 강의 세션을 듣고, 튜터를 지정하여 취업 관련 상담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강의는 이 공간에 진행을 하였고, 공간이 협소하기에 추첨을 통해서 소수의 인원만 참여를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강의를 받는 장소 위층에는 케이터링이 준비되어, 간식과 음료를 무료로 제공을 해주었습니다. 1. 펄어비스 (채용팀 팀장 나기현)주로 서류전형과 기업의 인재상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세션의 주 내용들은 이러했습니다.기업이 어떻게 지원자를 평가하는지?평가를 하기위해서는 어떠한 시스템화가 되어 있는지?해당 시스템에서 고득점을 받..

[DataBricks] Databricks Data Intelligence Day 한국 이벤트 2025 (25.04.29)

25.04.29에 갔다온 컨퍼런스에 대한 회고록 같은 후기를 적으려고 합니다. DataBricks가 얼마나 대단한 기업인지, 어떤 기술을 가지고 있었는지 처음 보고 나서 충격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아무튼 후기 시작.2025년 3월, 프로젝트 끝나고 인도네시아에서 한국 복귀해서 요즘은 어떤 기술이 유행인지 동향을 살펴볼려다가 링크드인에서 DataBricks 컨퍼런스를 한다는 피드를 보고 신청했습니다. 솔직히 이때 까지만 해도 프로젝트에서 Spark를 썼으면서 DataBricks 회사는 모르고 있었습니다. ;; 아무튼 4/2 신청을 해서 잊을만할 때쯤, 등록이 최종 확정 되었다는 메일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메일 받자말자 바로 연차사용Databricks Data Intelligence Day 한국 이벤트 ..

[ 프로그래머스 ] 유연근무제

문제 공유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388351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의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사이트를 운영하는 그렙에서는 재택근무와 함께 출근 희망 시각을 자유롭게 정하는 유연근무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제도 정착을 위해 오늘부터 일주일 동안 각자 설정한 출근 희망 시각에 늦지 않고 출근한 직원들에게 상품을 주는 이벤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직원들은 일주일동안 자신이 설정한 출근 희망 시각 + 10분까지 어플로 출근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출근 희망 시각이 9시 58분인 직원은 10시 8분까지 출근해..

코드문제풀이 2025.07.31

[ 프로그래머스 ] 특정기간동안 대여 가능한 자동차들의 대여비용 구하기 (ORACLE)

문제 공유: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7339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문제설명]다음은 어느 자동차 대여 회사에서 대여 중인 자동차들의 정보를 담은 CAR_RENTAL_COMPANY_CAR 테이블과 자동차 대여 기록 정보를 담은 CAR_RENTAL_COMPANY_RENTAL_HISTORY 테이블과 자동차 종류 별 대여 기간 종류 별 할인 정책 정보를 담은 CAR_RENTAL_COMPANY_DISCOUNT_PLAN 테이블 입니다. CAR_RENTAL_COMPANY_CAR 테이블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

코드문제풀이 2025.02.20

[ Linux ] Gz 압축

리눅스에서 폴더를 압축하는 방법 중 Gz 방식을 이용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압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window 처럼 zip을 이용할려고 하다가. 그럴려면 라이브러리를 새로 설치해야되서, tar 에 gz 압축방식이 있어서 사용해보았다. tar 에서도 gz , bzip2 가 있는데 압축률은 bzip2 가 더 좋지만, 시간이 더 오래걸린다고 하여 gz으로 골랐다. 15G (약 17000여개 파일들) 이 gz 후 254M 으로 줄어듬 (60%압축률) [ 형식 ]   폴더를 gz으로 압축하는 코멘트(tar 만들던 옵션에서 z만 추가하면 됨) tar [option] [file_name.gz] [forder] [ Option ] - 주로 사용하는 것만  1. -f, --file=ARCHIVE       ..

Linux 2024.05.23

[ Linux ] Tar 사용법

리눅스에서 파일 압축하는 방법 중 tar 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방법 [ 형식 ] tar [option] [file] [ Option ] - 주로 사용하는 것만 1. -f, --file=ARCHIVE use archive file or device ARCHIVE 2. -c, --create create a new archive 3. -x, --extract, --get extract files from an archive 4. -v, --verbose verbosely list files processed 5. -z, --gzip, --gunzip, --ungzip filter the archive through gzip 6. -w, --interactive, --confirmation ask for co..

Linux 2024.03.11

[ Impala ] illegalstateexception Grouping expr NULL return type BOOLEAN but its output tuple slot has type NULL_TYPE 에러 해결

Impala 에서 쿼리를 돌리다가 중복 데이터가 나와서 중복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 DISTINCT 를 사용했다. 쿼리를 다시 돌렸을 때, 해당 에러가 발생했다. illegalstateexception Grouping expr NULL return type BOOLEAN but its output tuple slot has type NULL_TYPE 구글링을 했었을 때, 다행히도 해당 에러에 대해 아파치 이슈로 올라와 있었다. https://issues.apache.org/jira/browse/IMPALA-4042 [IMPALA-4042] count(distinct NULL) fails on a view - ASF JIRA Affects Version/s: Impala 2.7.0 issues.apache...

HADOOP 2023.08.03

[ Linux ] SCP 오류

SCP는 Secure copy의 줄임말로 호스트간에 파일을 안전하게 옮기는 수단 중 하나이다. SCP 를 이용하여 다른 장비로 파일을 보낼려고 명령어를 사용하다가 특정 장비는 해당 에러가 발생했다.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root 로 해도 안되고, 네트워크도 다 문제 없었는데 이유를 몰라서 열심히 삽질을 헀다. SCP는 SSH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되어있다. 해당 에러는 ~/.ssh/known_hosts 파일에 가고싶은 곳에 host 네임이 등록이 안되어있어서 발생한거 였다. 그래서 보내고 싶은 장비로 ssh로 한번 연결해주면 known_hosts 파일에 자동으로 등록되고, 그 후에 SCP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보안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다.

Error 해결 2023.04.09

[ Linux / Window ] DNS 설정하기

DNS의 풀네임은 Domain Name System으로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유용한 프로토콜이다. IP 주소를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문자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네이버의 주소가 무엇이냐고 물어보았을 때. www.naver.com을 알고 있어도 223.130.200.104라고 대답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번외로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cmd에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하면 알 수 있다. 그러면 4개의 IP주소가 나오는데. 이게 4개가 네이버주소이다. 4개 중 아무거나 쳐도 네이버가 나온다. 본론으로 DNS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Window] File Path : C:\Windows\System3..

Linux 2022.08.05